수족다한증(손·발 다한증): 원인·진단·치료·생활관리 가이드
악수나 키보드를 칠 때 손바닥이 미끄럽고, 여름은 물론 겨울에도 양말이 젖을 정도로 발에 땀이 난다면 수족다한증(팔마/플랜터 하이퍼하이드로시스)일 수 있습니다. 다한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, 대인관계·작업 안전·학업/직무 수행에 직접적인 불편을 주기 때문에 증상 이해와 체계적 관리가 중요합니다. 이 글은 원인→진단→치료→실전 체크리스트까지 한 번에 정리한 정보 가이드입니다.
![]() |
- 다한증 한눈에 보기: 원인과 유형
- 진단 포인트: HDSS/영향도 체크
- 치료 옵션 비교표(국소→시술→수술)
- 생활 속 자가관리 체크리스트
- FAQ
- 결론
1) 다한증 한눈에 보기: 원인과 유형
땀 분비는 체온 조절을 위한 교감신경의 정상 기능입니다. 다만 일부 사람에서는 자극이 없거나 미미한 상황에서도 과도한 방출이 나타납니다. 원인에 따라 원발성(특발성)과 속발성으로 나눕니다.
- 원발성 다한증: 사춘기 이후 시작, 주로 손·발·겨드랑이·얼굴에 국한. 가족력(유전 경향)과 교감신경 과민성이 추정됩니다. 수면 중에는 대개 호전.
- 속발성 다한증: 갑상선항진증, 당뇨의 저혈당, 폐경, 약물(항우울제·진통제·해열제 등), 감염·종양·신경계 질환 등이 원인. 전신성이거나 새롭게 발생했다면 해당 가능성 평가가 필요합니다.
2) 진단 포인트: HDSS/영향도 체크
병력과 신체검사가 기본입니다. 원발성 의심 시 흔히 HDSS(Hyperhidrosis Disease Severity Scale)로 일상 영향도를 평가합니다.
| HDSS 등급 | 설명 | 치료 권고 예시 |
|---|---|---|
| 1 | 땀이 있지만 생활에 거의 영향 없음 | 생활관리 + 약한 국소제 |
| 2 | 가끔 불편하나 대부분 견딜 수 있음 | 강한 국소제 ± 이온삼투 |
| 3 | 자주 문제, 생활에 자주 영향 | 이온삼투/보툴리눔/경구약 고려 |
| 4 | 항상 문제, 일상/직무 어려움 | 보툴리눔 고용량·반복, 수술 검토(부위별) |
3) 치료 옵션 비교표(국소→시술→수술)
치료는 단계적(보존→시술→수술) 접근을 권장합니다. 개인의 부위/중증도/직업에 맞춰 조합할 수 있습니다.
| 방법 | 핵심 내용 | 장점/한계 | 적합 부위 |
|---|---|---|---|
| 국소 항퍼스피런트 | 염화알루미늄(예: 10~20%) 밤에 도포 | 저비용/간편, 피부 자극 가능 | 손·발·겨드랑이 |
| 이온삼투요법 | 물에 손/발 담근 뒤 약한 직류 전류 전달 | 자가관리 가능, 정기 유지 필요 | 손·발 |
| 경구 항콜린제 | 옥시부티닌/글리코피롤레이트 등 | 전신 효과, 구건/변비/시야 흐림 등 부작용 주의 | 부위 여러 곳 |
| 보툴리눔 톡신 주사 | 아세틸콜린 분비 차단, 4~6개월 유지 | 효과 높음, 통증/비용/일시적 약화 | 손바닥·발바닥·겨드랑이 |
| 에너지 기반 시술 | 마이크로파/레이저로 땀샘 표적 | 겨드랑이에 주로 적용, 비용 높음 | 겨드랑이 |
| 흉부 교감신경 절제술(ETS) | 교감신경 차단/절제 | 보상성 다한 위험, 신중 선택 | 주로 손, 중증·난치 시 |
4) 생활 속 자가관리 체크리스트
- 국소제는 취침 전 건조한 피부에 바르고, 아침에 씻어 잔여물 제거
- 이온삼투는 초기 주 3~5회, 유지 주 1~2회 루틴 구축
- 손은 흡습 파우더·알코올 손세정제(일시 건조) 활용, 과다 사용 시 자극 주의
- 양말은 면+기능성 이중 레이어, 여분 휴대해 교체
- 신발은 통풍·흡습 깔창, 로테이션으로 건조 시간 확보
- 회의/시험 등 긴장 상황 전 냉수 손목 샤워로 교감신경 진정
- 카페인·매운 음식·과음은 증상 유발 가능, 상황별 회피
- 피부 자극·습진 예방: 보습제/장벽 회복 크림 병행
- 직무상 안전(정밀 작업·전기 작업 등)에는 미끄럼 방지 장갑·드라이 타월 준비
5) FAQ
Q1. 겨울에도 심한데 정상인가요?
네. 원발성 다한증은 온도와 무관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스트레스·긴장·손발 자극이 촉발 요인이 됩니다.
Q2. 이온삼투는 집에서도 가능한가요?
가정용 기기로 가능합니다. 금속 임플란트·심박조율기·임신 등은 금기/주의이므로 사용 전 의사와 상의하세요.
Q3. 보툴리눔 주사 통증이 걱정돼요.
손바닥·발바닥은 통증이 있는 부위라 도포 마취·냉각·블록 마취를 병행하기도 합니다. 효과 지속은 보통 4~6개월 전후입니다.
Q4. 경구 항콜린제는 오래 먹어도 되나요?
장기 복용 시 구건, 변비, 시야 흐림, 배뇨 곤란 등 부작용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. 최소 용량으로 간헐적 사용을 권하기도 합니다.
Q5. 수술하면 완치되나요?
흉부 교감신경 절제술은 손 다한증에 효과적일 수 있으나, 보상성 다한(몸 다른 부위 땀 증가)의 위험이 있어 난치·중증에서 충분한 상담 후 선택합니다.
결론
수족다한증은 교감신경 과민으로 인한 기능적 문제지만,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줍니다. 국소제→이온삼투→보툴리눔/경구약→수술의 단계적 전략과 상황 맞춤형 생활요령을 병행하면 대부분의 경우 업무·학습·대인관계에서 충분한 컨트롤이 가능합니다. 새롭게 시작된 전신성 다한이나 밤에도 지속되는 경우는 속발성 원인 평가를 위해 진료를 권합니다.
※ 본 글은 일반 건강 정보입니다. 구체적 진단·치료는 개인별 상황에 따라 의료전문가와 상의하세요.
수족다한증, 손땀, 발땀, 다한증치료, 이온삼투, 보툴리눔, 항콜린제, 교감신경절제술, 생활관리, HDSS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