거대 메크 덱 공략 ⚙️ 라이트 가이드
코어 구조·운영·멀리건·매치업·예산형 대체를 빠르게 정리했습니다. (게임별 카드명은 예시/의사결정 프레임 위주)
목차
1) 덱 철학: 큰 한 방 + 점진 압박
거대 메크 덱은 고코스트 메크(피니셔)를 축으로, 소형 메크 스웜과 모듈형 합체/강화로 턴마다 가치를 쌓다가 한 타이밍에 과잉 스탯으로 게임을 끝내는 플랜입니다. 핵심은 ① 초반 파츠 확보, ② 중반 보호+강화, ③ 후반 한 번에 압살의 3스텝.
2) 코어 구성(샘플 리스트/역할군)
- 피니셔(3~4장): 거대 메크 A/B — 소환/합체 시 즉발 가치가 큰 카드.
- 엔진(8~10장): 소형 메크(토큰/자가 복제/자원 환급), 자가수복 유닛.
- 버프/모듈(6~8장): 자가장착, 보호막·도발·속공 부여 등 한 장 두 가치 카드.
- 리무브(4~6장): 광역 1, 단일 제거 1 — 손패 말림 방지용 저코스트 우선.
- 드로/탐색(4~6장): 메크 태그 전용 서치, 탑덱 고정형 카드.
* 실제 게임 규칙/메타에 맞게 이름만 대체하세요. 역할군 비율이 핵심입니다.
3) 운영·멀리건: 시작/중반/피니시
- 멀리건: 1~2코 엔진, 전개+드로 동시 제공 카드 우선. 피니셔/고코스트는 전부 반납.
- 초반: 보드 존재감 확보가 최우선. 합체는 서두르지 말고 리무브 유도 후 결합.
- 중반: 보호 모듈(보호막/도발)로 핵심 유닛 방호, 남는 마나로 드로/탐색.
- 피니시: 광역 견제를 체크한 뒤 턴 종료 직전 대형 합체→즉시타격 각을 봅니다.
4) 매치업 공략
| 상대 성향 | 플랜 | 핵심 팁 |
|---|---|---|
| 어그로 | 저코 전개+초기 광역 유지 | 체력 관리, 도발/회복 모듈 우선 |
| 미드레인지 | 가치 교환 후 타이밍 합체 | 리무브 예측해 2체로 분산 전개 |
| 컨트롤 | 핸드 리소스 우위→한 방 | 광역 턴 체크, 보호막 붙은 피니셔 강제 |
5) 예산형 대체·테크 카드
- 고가 피니셔 → 보급형 메크+모듈 2장으로 비슷한 즉발 가치 구성.
- 메타 테크: 무덤/자원 견제, 주문 방해, 방어구 관통—메타 주류에 맞춰 2~3장 유동.
- 프리미엄 리무브 → 저코 연계 2장으로 대체(턴 분산으로 효율 보완).
6) 자주 묻는 질문
Q1. 합체 타이밍은 언제가 좋아요?
✅ 상대의 확정 제거가 소모된 뒤 또는 즉시 공격 가능한 턴.
Q2. 드로가 부족해요.
✅ 메크 태그 전용 서치 비중을 1~2장 늘리고, 고코스트 1장 감량.
Q3. 광역에 전부 쓸립니다.
✅ 2레인 분산 전개 + 보호 모듈 선 장착을 기본 원칙으로.
7) 요약 & 체크리스트
- 멀리건: 저코 엔진, 드로/탐색 > 나머지 전부 반납
- 운영: 보호→합체→즉시타격 순서, 광역 턴 외워두기
- 리스트: 피니셔 3~4 / 엔진 8~10 / 모듈 6~8 / 리무브 4~6 / 드로 4~6
거대메크덱, 메크덱, 카드게임공략, 멀리건가이드, 메타대응, 덱리스트, 예산덱, 테크카드, 컨트롤대응, 어그로카운터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