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EG(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) 시술 정보 총정리
PEG(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)는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를 위한 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입니다.
즉, 복부 피부를 통해 위와 외부를 직접 연결하여 영양공급을 위한 관을 삽입하는 시술입니다.
본 글에서는 PEG의 정의, 시술 목적, 적응증, 시술 과정, 관리법, 합병증까지 포괄적으로 안내드립니다.
1. PEG란 무엇인가?
- PEG (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): 피부(경피적)를 통해 내시경을 이용하여 위에 직접 영양공급 관을 삽입하는 시술
- 목적: 경구 섭취가 불가능하거나 제한적인 환자에게 장기적인 영양 공급 경로 제공
- 시술 대상: 의식은 있으나 연하곤란, 입이나 식도를 통한 섭취 불가능한 경우
2. PEG 시술의 적응증
- 중추신경계 질환 (뇌졸중, 파킨슨병, ALS 등)으로 인한 연하곤란
- 두경부암, 식도암 등으로 인한 기계적 폐쇄
- 장기간 경관급식이 필요한 환자
- 의식은 있으나 섭취 기능이 없는 중증 질환 환자
- 코로 삽입하는 비위관(NG tube)의 불편함 또는 장기 사용 부작용 방지 목적
3. PEG 시술 과정
- 내시경을 입으로 삽입하여 위 내부 확인
- 복부 바깥에서 적절한 위치에 절개
- 내시경을 통해 유도 와이어(wire)를 위 내부에서 복벽 밖으로 뽑아냄
- 관(gastrostomy tube)을 유도와이어 따라 삽입
- 내부와 외부 고정 디스크로 튜브 고정
- 시술 시간: 약 15~30분 정도 소요
⚠️ 전신마취는 필요 없으며, 진정제 및 국소마취로 대부분의 환자가 편안하게 시술 받을 수 있습니다.
4. PEG 관리 방법
- 삽입 부위 청결 유지: 매일 미온수나 생리식염수로 소독
- 튜브 세척: 사용 후 주사기로 물을 주입하여 관 내 막힘 방지
- 영양공급: 의료진 지시에 따라 일정량의 영양액을 시간 간격으로 투여
- 의복 및 자세 주의: 관이 꺾이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유의
- 정기적 교체: 튜브는 주기적으로 교체하며 병원 내 방문 필요
5. 발생 가능한 합병증
- 삽입 부위 감염: 발적, 통증, 고름, 발열 시 즉시 병원 방문
- 관 막힘 또는 유실: 음식 찌꺼기나 굳은 약물로 인한 폐색
- 위장관 천공 (드물게): 내시경 또는 튜브 삽입 중 위 벽 손상
- 출혈: 삽입 부위나 위 점막 손상 시 발생 가능
- 복부 통증 또는 누출: 영양액이 피부 밖으로 새는 경우
❗ PEG는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나, 합병증 예방을 위해 삽입 후 초기 1~2주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
6. PEG 시술 후 생활 팁
- 영양액 투여 시 앉거나 상체를 세운 자세 유지
- 투여 후 30분간 누워있지 않기
- 관 주변을 젖은 상태로 방치하지 않기
- 목욕은 삽입 부위가 아물고 난 후 시작
- 정기적 병원 방문으로 상태 점검
✅ 정리
PEG 시술은 연하장애 또는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게 필수적인 장기적 영양 공급 수단입니다.
내시경을 통한 간단한 시술로 진행되며, 비교적 안전하지만 적절한 관리와 감염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의료진의 지시를 잘 따르고, 주기적으로 상태를 체크하여 건강한 영양 공급을 유지하세요.
태그: PEG, 위루술, 경피적 내시경하 위루술, 연하장애, 위루관, 위루튜브, 영양공급, PEG튜브 관리
